지방 이상증(lipodystrophy)이란 허벅지, 다리, 복부, 팔뚝 등에서 피하지방이 뚜렷하게 소실되는 상태를 뜻한다(lipo~: 지방(ex: 라이포 썩션(liposuction)), ~dystrophy: 비정상).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하여 gynoid lipodystrophy와 같이 자주 불리기도 한다(gynoid~, gyne~: 여자(ex: gynecology: 산부인과)). 셀롤라이트(부종 → 경화 → 섬유화)로 더 많이 알려져있다. 임상적으로 지방 이상증과 유사한 소견을 보이는 국소 지방 위축(localized fat atrophy)은 직경 수 cm 이하의 둥글게 함몰된 병변(들)이 발생한 상태를 뜻하며, 기타 지방 이상증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지방 이상증은 피하지방이 보다 넓은 부위에 걸쳐 소실되는 경우를 뜻하며 지방조직의 이상증(위축 등 동반)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드물게 발생하는 지방 이상증들(대개 가족력 또는 특정 질병들을 발병 원인으로 보는)도 있다.
유전지방이상증(congenital lipodystrophy)은 인구 백만 명당 1명 이하의 유병률을 보인다.
HIV감염관련 지방이상증(HIV-associated Lipodystrophy)도 있다. HIV감염관련 지방이상증의 원인은 HIV 치료에 쓰이는 단백질분해효소 프로테아제 억제제(protease inhibitor)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의 DNA 중합효소(polymerase)가 억제되도록 하여 지방세포(adipocytes)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한다는 학설이 있다.
전신지방이상증(generalized lipodystrophy)과 부분지방이상증(partial lipodystrophy)은 유전적(congenital)일 때와 후천적(acquired)일 때 증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만약 힙, 허벅지 등 피부에 함몰되거나 오돌도돌한 부분이 있다면 해당 부위에 국소지방위축 및 지방이상증이 발생하였는가를 진단받아보아야 한다. 정상적인 경우에는 피부가 매끈해야 한다.
병변의 축소 및 제거는 써마지,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해 가능하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관련된 질병의 치료 및 생활 교정이 필요하다. 병변이 있는 경우, 현재 또는 미래에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 또는 당뇨(diabetes)가 있거나 올 가능성이 높아져 있다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지방 이상증이 있을 경우 대사 증후군 또는 당뇨에도 해당되는 것이 아닌지도 함께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